Study2022. 10. 18. 10:55ARN이란 ?

ARN이란 ? Amazon Resource Number의 약자로 AWS 서비스를 생성할 때 생성되는 일련번호를 말한다. AWS는 각각의 서비스에서 만든 리소스들을 ARN으로 구분하고 ARN이 다르면 서로 다르게 취급한다. ARN/파티션 구분자/서비스 명/리전/계정 번호 + 서비스마다 상세 구분자 ex) arn:aws:lambda:region:account-id:function:function-name 람다 함수의 경우 상세 구분자로 function과 function-name이 있다. 그 이유는 람다 함수에 layer라는 서비스도 있기 때문에 layer일 경우 layer:layer-name으로 구분지어준다. 람다 함수의 layer란 ? 공통으로 사용되는 패키지 또는 라이브러리를 압축하여 업로드 함으로써 여..

미들웨어 (Middleware)
Study/Study2022. 9. 12. 00:47미들웨어 (Middleware)

미들웨어란 ?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종의 하드웨어나 프로토콜, 통신환경 등을 연결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환경 간에 원만한 통신이 이루어 질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양쪽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여러개의 컴퓨터에 있는 많은 프로세스들에게 어떤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예를 들어, 3-Tier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라면 웹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 올 수 있도록 중간다리 역할을 하는 미들웨어가 있다. 미들웨어 등장 배경 클라이언트와 DBMS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방식이 여러 가지 단점이 있었음을 알게 된 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

L2, L3, L4, L7 Switch
Study/Study2022. 9. 6. 16:07L2, L3, L4, L7 Switch

질문 : L2, L3, L4, L7 스위치란 무엇인가? 요약 : L2, L3 등은 OSI의 7 레이어 중 어떤 레이어에서 수행되는가에 따라 정의된 분류이다. L2 Switch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자 스위치의 정의에 부합하는 스위치 허브에서 한단계 진화한 장치 패킷이 왔을 때 목적지가 어디인가를 보고 그 목적지로 보내주는 역할만 수행 L2 계층에서 동작하므로 목적지를 Ethernet 주소로 이해한다. IP 주소 정보를 필요로 하는 외부로는 패킷을 보낼 수 없다. L3 Switch L2 스위치의 한계로 인해 등장 한계 : 데이터링크 계층에서는 Ethernet 레벨에서만 동작할 수 있어 그 상위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IP 프로토콜 등을 이해하지 못한다. L3에서는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인 IP ..

CPU vs GPU
Study/Study2022. 9. 6. 15:48CPU vs GPU

급한 사람들을 위해 먼저 정리하고 가자면 ! CPU는 어려운 문제를 푸는데 특화된 소수 정예 싱글코어, 그리고 GPU는 쉬운 문제를 동시에 푸는 데 특화된 인해전술 멀티코어라고 생각하면 된다. CPU와 GPU CPU와 GPU 모두 데이터를 읽어들여 연산처리를 통해 답을 도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CPU(중앙 처리 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 GPU(그래픽 처리 장치, Graphical Processing Unit) CPU란 ? CPU는 입출력장치, 기억장치, 연산장치를 비롯한 컴퓨터 리소스를 이용하는 최상위 계층 장치로써, 컴퓨터의 두뇌를 담당한다. CPU는 컴퓨터 및 운영체제에 필요한 명령과 처리를 실행하므로 컴퓨팅 시스템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CPU는 명령어가 입력된 순서대로 ..

온프레미스 vs 프라이빗 클라우드
Study/Study2022. 9. 6. 15:07온프레미스 vs 프라이빗 클라우드

클라우드의 핵심, 가상화와 클라우드 관리 스택 온프레미스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가장 큰 차이점은 클라우드의 핵심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다. 여기서 말하는 클라우드의 핵심 능력은 '신속함'이다. 기업의 서비스에 사용자가 몰리면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해당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를 증설해 빠르게 서비스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반면 온프레미스는 이것이 대단히 어렵다. 인프라를 새로 주문하고 이를 설치해 서비스에 연결할 때까지(보통 1~2주) 서비스를 안정시킬 수 없다. 이러한 신속함을 갖기 위해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두 가지 핵심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첫번째는 '가상화'이다. 가상화는 클라우드를 지탱하는 핵심 기술이다. 가상화란 네트워크 장비, 서버, 스토리지(저장 장치) 등 데이터 센터 내의 인프라 ..

Scale Up vs Scale In vs Scale Out
Study/Study2022. 8. 29. 00:13Scale Up vs Scale In vs Scale Out

Scale Up 서버의 자원이 부족해 서버의 스펙을 상승시키는 것을 말한다. 하나의 서버의 능력을 증강하기 때문에 수직 스케일링(Vertical Scaling)이라고도 한다. 즉, 기존의 하드웨어를 보다 더 높은 사양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AWS에서 스펙이 더 좋은 인스턴스 타입으로 교체하는 것과 같다. Scale Out 서버의 스펙을 상승으로는 한계가 있어 효율이 떨어지는 시점이 있다. 기존의 서버와 같은 사양의 서버 대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 방식을 Horizontal scaling이라고도 하며 확장이 Scale Up보다 다소 유연하다. 1의 처리 능력을 가진 서버에 동일한 서버 4대를 추가하여 총 5의 처리 능력을 만드는 것이다. → ..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