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Docker 컨테이너 관리 명령어 (2)](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TRr91%2FbtrBsZLnAuJ%2FAAAAAAAAAAAAAAAAAAAAAAfH73zQ0NNlGedZ3vijjKSUa39__ksEnZgvZkAaUt0Y%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r165Bqa4%252B7W%252Fjfa3oDhnhavV0ik%253D)
✔️ 컨테이너에서 (추가)애플리케이션 실행 docker exec docker exec -it a8 bash docker exec a8 cat conf/httpd.conf exec 명령을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태이다.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띄워놓고 확인하고 변경이 필요할 때 bash를 띄워 접근한다. 아니면 단순히 명령어를 확인해보고 싶은 경우에도 이 방식을 사용한다. ✔️ attach vs exec docker attach docker exec 두 명령어의 사용법을 비교해보자. app이 정상 작동하는지 검사 해보거나 컨테이너 내부로 진입하고 싶을 때 다음과 같이 -it 옵션을 붙여 실행한다. vagrant@docker ~ docker run -it httpd bash root@cf6769..
![[Docker] Docker 컨테이너 관리 명령어 (1)](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cisQeY%2FbtrBqa1Kgox%2FAAAAAAAAAAAAAAAAAAAAAKoIQFnujg5JQQRJrNEbi1lkOyjhAcoYLAnaUbCcAvax%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dbnJiNT7%252F%252B5ui1net3JjiZfFQ%252B8%253D)
✔️ 컨테이너 관리 ✔️ 현재 실행 중인 컨테이너 목록 확인 docker ps ✔️ 모든 컨테이너 목록 확인 docker ps -a vagrant@docker ~ docker ps -a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73a9eb476cc5 hello-world "/hello" 7 seconds ago Exited (0) 5 seconds ago adoring_bhabha ✔️ 컨테이너 실행 docker run docker run --name vagrant@docker ~ docker inspect hello-world -f '{{ .Config.Cmd }}' [/hello] vagrant@docker ~ docker ..
✔️ Docker 관리 ✔️ 최신 Docker 명령 구조 docker container docker image docker network docker volume ✔️ 이미지 ✔️ 이미지 목록 확인 로컬 레지스트리의 이미지 목록을 확인한다. docker images docker image ls vagrant@docker ~ docker images REPOSITORY TAG IMAGE ID CREATED SIZE ubuntu latest d2e4e1f51132 4 days ago 77.8MB amazonlinux latest 365842604a8b 12 days ago 164MB httpd latest c30a46771695 13 days ago 144MB hello-world latest feb..
✔️ Docker의 LifeCycle create → start → (pause) → (unpause) → (kill) → stop → rm → run ----------> Docker run은 Docker create + Docker start 를 합친 것이다. Docker create - 컨테이너를 생성하며 Docker start - 컨테이너를 실행한다. 실행의 원칙은 app이 종료가 되면 컨테이너도 종료 되는 것이다. 여기서의 종료는 stop을 의미한다. pause, unpause 명령을 통해 컨테이너를 일시 중지, 중지 해제 할 수도 있다. puase를 시키면 사용하던 리소스들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kill은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것이며, 컨테이너를 강제종료시키는 것이다. vagrant@dock..
![[Docker] Docker(도커)의 기본 명령어](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XZOur%2FbtrBsvJWPaC%2FAAAAAAAAAAAAAAAAAAAAAOLqYUCqDckehKFeeAnL74abNdZiSCR8CPAFYdXiW9_4%2Fimg.jp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uc5y4kCVrC0mKfSNxOGRrnhZSXU%253D)
✔️ Docker 버전 도커의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도커의 버전을 확인해보자 docker version Client - 도커 명령어를 의미한다. - Docker CE : Community Edition - Docker EE : Enterprise Edition 20.10.14 : 2020년도 10월에 나온 버젼을 의미한다. Server - 도커 엔진 (도커 서비스가 실행하는 서버) ✔️ Docker 아키텍처 Docker 명령어(클라이언트) Docker host(서버) 서버에는 도커 데몬이 작동하고 있으며 도커 명령어가 도커 데몬에게 명령을 내리는 형태이다. 중요한 것은 레지스트리라고 하는 저장소인데, 우리가 ec2를 만들 때 AMI 이미지가 필요한 것 처럼 컨테이너를 만들기 위해서는 컨테이너용 이미지가 필..
![[Docker] Docker(도커) 설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RlZji%2FbtrBq0cScrk%2FAAAAAAAAAAAAAAAAAAAAALm14k8QCSIi59Ss9poifYDlVH5SD7AGnD7CFhQjihFt%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sF%252BehVNmSf41j1D49FmQtgesRCI%253D)
✔️ Docker(도커) 설치 ✔️ Ubuntu Virtual Machine 구축 Vagrant를 이용해 Ubuntu VM을 구축하고 그 위에 Docker를 설치할 것이다. Vagrant.configure("2") do |config| # Define VM config.vm.define "docker" do |centos| centos.vm.box = "ubuntu/focal64" centos.vm.hostname = "docker" centos.vm.network "private_network", ip: "192.168.100.100" centos.vm.provider "virtualbox" do |vb| vb.name = "docker" vb.cpus = 2 vb.memory = 4096 end en..